원수 (군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수(元帥)는 여러 국가에서 군대의 최고 계급으로 사용되는 명칭이다. 어원은 고대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말 하인"을 의미하는 게르만어에서 파생되었다. 원수 계급은 육군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해군에서는 제독, 공군에서는 원수 또는 장군으로 불리기도 한다.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대장 중 국가에 현저한 공적이 있는 자를 국회 동의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며, 종신 현역으로 복무한다. 북한에서는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에게만 부여되는 공화국 원수 등의 계급이 존재한다. 이 외에도 프랑스 원수와 같이 명예 칭호로 사용되거나, 다양한 분야에서 직책 또는 지위의 명칭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수 - 대원수
대원수는 여러 국가에서 원수보다 높은 군사 계급 또는 칭호로, 군 통수권자나 국가원수에게 주어지는 명예 칭호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일부 국가에서 정치적인 상징으로 활용된다. - 원수 - 권율
조선 중기의 문관이자 무장인 권율은 안동 권씨 출신으로, 늦은 나이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료 생활을 시작, 임진왜란 때 행주대첩에서 승리하는 등 활약하여 도원수에 올랐으며 이몽학의 난을 진압하는 데에도 기여,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선무공신 1등에 녹훈된 인물이다. - 군사 계급 - 4성 장군
4성 장군은 군대 계급 중 대장에 해당하며,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합동참모의장, 각 군 참모총장 등을 포함한 7명이, 다른 국가에서는 각 군 참모총장, 통합군 사령관 등이 해당되는 군 최고위급 지휘관이다. - 군사 계급 - 대령
대령은 연대 규모의 부대를 지휘하는 장교 계급으로, 국가와 군종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현대에는 부대 운영, 훈련, 작전 수행 등의 책임을 지고 명예연대장과 같은 직책도 존재한다.
원수 (군사) | |
---|---|
마셜 | |
개요 | |
설명 | 공식적인 직위. 다양한 사회 분야에서 사용됨. |
군대 계급 | |
종류 | 원수 해군 원수 공군 원수 |
관련 항목 | 군대 계급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마셜 (동음이의) |
2. 어원
'원수(元帥)'라는 단어는 노르만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고대 차용어이다(현대 프랑스어 ''maréchal''과 비교). 이는 다시 고대 프랑크어 *''marhskalkfrk''(="마구간의 아이, 관리인, 하인")에서 차용된 것이다. 중세 네덜란드어 ''maerscalc'', ''marscal'' 및 현대 네덜란드어 ''maarschalk'' (="군사 최고 사령관"; 의미는 프랑스어의 용법에 의해 영향을 받음)에서 여전히 나타난다.
많은 국가에서 원수 계급은 다른 장군보다 상위에 있는 최고 육군 계급이다. 이에 상응하는 해군 계급은 종종 원수 또는 대원수이다. 원수는 일반적으로 전쟁 시기에만 임명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많은 국가, 특히 유럽에서는 원수의 특별한 상징은 지휘봉이며, 그들의 계급장은 종종 지휘봉을 포함한다.
많은 국가에서 원수 계급은 다른 장군보다 상위에 있는 최고 육군 계급이다. 이에 상응하는 해군 계급은 종종 원수 또는 대원수이다. 원수는 일반적으로 전쟁 시기에만 임명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5성 계급인 공군 원수는 일부 영연방 및 중동 공군에서 사용된다.
대한민국 국군에는 원수 계급이 존재하지만, 아직까지 임명된 사례는 없다.[25] 원수는 국가에 대한 공적이 현저한 대장 중에서 임명되며, 국방부 장관의 추천과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 국회의 동의를 받아 대통령이 임명한다. 현역 정년은 종신(終身)이다.[25]
조선인민군에서는 대원수, 공화국 원수, 인민군 원수, 차수와 같이, 원수의 계급이 세분화되어 있다. 국가의 최고 지도자인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에게만 부여되는 명예 칭호이며, 대원수 계급은 김일성의 만년과 김정일의 사후에 수여되었다.
많은 국가에서 원수 계급은 장군보다 상위에 있는 최고 육군 계급이다. 이에 상응하는 해군 계급은 종종 해군 원수 또는 대원수이다. 원수는 일반적으로 전쟁 시기에만 임명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많은 국가, 특히 유럽에서는 원수의 특별한 상징은 지휘봉이며, 계급장은 종종 지휘봉을 포함한다.
이는 고대 고지 독일어 ''mar(ah)-scalcgoh'' "id.", 현대 독일어 ''(Feld-)Marschall'' (="군사 최고 사령관"; 의미는 다시 프랑스어의 용법에 의해 영향을 받음)와 동족어이다.[1]
원래 그리고 문자 그대로 "말 하인"을 의미하며, 게르만어 ''*marha-'' "말" (영국 영어 ''mare'' 및 현대 독일어 ''Mähre'', "질 낮은 말"을 의미)과 ''*skalk-'' "하인" (고대 영어 ''scealc'' "하인, 병사" 및 구식 독일어 ''Schalk'', "고위 하인"을 의미)에서 유래했다.[2] 이 "말 하인" 기원은 현재 프랑스어 ''대장장이''의 이름인 ''maréchal-ferrant''에 남아있다.
후기 로마 및 비잔틴의 칭호인 ''comes stabuli'' ("마구간의 백작")는 게르만어의 ''직역어''였으며, 이는 고대 프랑스어 ''con(n)establefro''이 되었고 현대 ''connétable''이 되었으며, 고대 프랑스어에서 차용된 영어 단어 "constable"이 되었다.
한자 문화권에서 '원수(元帥)'라는 단어의 어원은 《춘추좌씨전》 희공 27년(기원전 633년) 겨울 진나라 극곡의 말에서 유래되었다고 여겨진다. 수나라 말기, 당나라의 시조가 되는 이연이 우원수(右元帥)와 좌원수(左元帥)를 설치했다.
영어 'Marshal'(육군 원수)의 어원은 프랑크 왕국 지휘관의 직명, 국왕의 마굿간을 관리하는 관리, 나아가 전쟁 시 국왕의 보좌역[20]에 기인한다.
3. 역사
일부 국가에서는 "원수"라는 용어가 더 높은 공군 계급에서 "장군" 대신 사용된다. 영국 공군의 네 개의 최고 계급은 영국 공군 원수, 공군 대장, 공군 중장 및 공군 소장이다(비록 처음 언급된 계급이 일반적으로 평화 시 계급으로 중단되었지만, 제대로 원수로 간주될 수 있는 유일한 계급이다). 5성 계급인 공군 원수는 일부 영연방 및 중동 공군에서 사용된다.
프랑스 육군과 프랑스식 시스템을 모델로 한 대부분의 국가 육군에서, ''maréchal des logis''("숙영 원수")는 상사에 해당하는 기병 용어이다.
일부 역사적인 통치자들은 특정 신하들에게 보상하기 위해 특별한 "원수" 칭호를 사용했다. 엄격히 군사 계급은 아니지만, 이러한 명예 칭호는 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의 유명한 아이아쿠초의 대원수와 같이 성공적인 군사 지도자에게만 수여되었다. 가장 유명한 것은 프랑스 원수 (''Maréchaux de France'')이며, 나폴레옹 치하에서 특히 그러했다. 또 다른 칭호는 아돌프 히틀러가 헤르만 괴링에게 수여한 ''제국 원수''였지만, 역사상 유일한 보유자였던 괴링을 위해 "발명"된 것이므로 정규적인 칭호는 아니었다. 영국의 제1 남작 전쟁 동안 "신과 성스러운 교회의 군대 원수"라는 칭호는 선거에 의해 로버트 피츠월터에게 수여되었다.
소련과 러시아 모두 계급 체계에 육군 대장과 "원수"를 가지고 있다.
''마레쇼세''(Maréchaussée)는 프랑스어 단어 ''Maréchal'' (복수형 ''Maréchaux'')에서 유래되었으며, 봉건 프랑스에서 1627년까지 육군 총사령관인 ''Connétable''(총사령관) 다음으로 두 번째로 높은 군사 계급이었다. 총사령관과 원수는 처음에는 군인에게만 적용되는 사법권도 가지고 있었다. 경찰 권한을 추가로 부여하면서 "''마레쇼세''" 군단(Marshalcy, 현대 국가헌병대의 전신)과 군인과 민간인을 가리지 않고 경미한 법 위반 사건을 재판할 수 있는 "총사령관 및 프랑스 원수 법정"이라는 앙시앵 레짐 사법부가 만들어졌다.
''마레쇼세''라는 용어는 미국 독립 전쟁 동안 대륙군의 헌병에도 사용되었다.
오늘날 네덜란드에서는 ''왕립 마레쇼세''(Koninklijke Marechaussee, "로얄 마샬시")가 프랑스 ''국가헌병대''(Gendarmerie nationale)와 유사하게 민간 권한을 가진 국가 군사 경찰이다.
한때 "마셜"이라는 세습 칭호는 잉글랜드 국왕의 가구 안전 책임자를 지정했다. 윌리엄 마셜 제1대 펨브로크 백작은 이 직책에서 네 명의 국왕을 섬겼으며, 결국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인물 중 한 명이 되었다. 그는 1219년에 사망할 무렵, 유럽(잉글랜드뿐만 아니라) 전역의 사람들이 윌리엄 마셜을 단순히 "마셜"이라고 불렀다. 따라서 세습 마셜(또는 얼 마셜) 직책은 국가 주요 관직으로 발전했다.[15]
왕의 궁정 내에서 법과 질서를 유지하는 임무는 이후 기사 마셜 직책(1236년 설립)으로 이관되었다. 기사 마셜은 자신의 부하인 국왕(또는 여왕)의 마셜맨과 함께 1846년 이 직책이 폐지될 때까지 국왕의 궁궐 반경 약 19.31km 이내에서 제한적인 체포 권한을 계속 행사했다.
1595년,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은 마셜에게 특허장을 발급하여 런던 시 내에서 질서를 유지할 권한을 부여했다. 이후, 마셜의 업무를 돕기 위해 부마셜 1명과 시 마셜맨 6명이 임명되었다. 1829년과 1839년의 경찰법의 결과로, 마셜의 역할은 크게 변화했다. 현재 빌리 킹-하만 대령(CBE)인 시 마셜 1명은 여전히 런던 시장의 평화 유지자로 활동하며, 행진을 이끌고, 모든 군대 입장(런던 시를 통과할 자격이 있는 소수의 연대에 도전하고 호위)에서 런던 시장을 대표한다.[16]
"스코틀랜드 마리샬"(''marascallus Scotie'' 또는 ''marscallus Scotie'') 직위는 키스 가문의 족장 가문이 허비 드 키스 이후 세습해 왔다.[15] 허비 드 키스는 말콤 4세와 윌리엄 1세 치하에서 마리샬 직을 맡았다. 허비의 후손인 로버트 드 키스 경(1332년 사망)은 1324년경 로버트 1세에 의해 "스코틀랜드 대 마리샬" 직위를 확인받았다.
로버트 드 키스의 증손자 윌리엄은 1458년경 제임스 2세에 의해 얼 마리샬 작위를 받았다. 이 작위는 조지 키스(10대 얼)가 1715년 자코바이트 봉기에 가담하여 몰수되면서 소멸되었다.
마리샬은 스코틀랜드 왕실 스코틀랜드 왕관 보물의 관리인 역할을 했으며, 국왕이 스코틀랜드 의회에 참석할 때 국왕을 보호했다. 전자의 의무는 세 왕국 전쟁 동안 7대 얼이 수행했는데, 그는 왕실 왕관 보물을 던노터 성에 숨겼다. 잉글랜드 얼 마셜이 수행하는 문장 규제 역할은 스코틀랜드에서는 리옹 문장관이 수행한다.
기사 마리샬이라는 별도의 직함은 1633년 찰스 1세의 스코틀랜드 대관식에서 처음 만들어졌다. 이 직위는 세습되지 않지만, 키스 가문 구성원들이 역임했다.
프랑스에서, ''마레쇼세''(Maréchaussée, "원수단")는 프랑스 ''헌병대''의 전신이었다. 이러한 임무를 수행하는 군단은 1337년에 처음 창설되었으며, 프랑스 대원수 (왕립 군대의 최고 사령관)의 지휘를 받았으며, ''콩네타블리''(Connétablie)라고 불렸다. 1627년 '콩네타블' 칭호가 폐지된 후, 그것은 "프랑스 원수"의 지휘를 받게 되었고, ''마레쇼세''로 개칭되었다. 주요 임무는 강도로부터 도로를 보호하는 것이었다.
''마레쇼세''는 군사적 방식으로 조직되고 장비를 갖춘 기병 군사 경찰 부대였다. 이 부대는 정규군의 용기병과 유사한 제복을 착용하고 동일한 머스킷총과 사브르를 휴대했다. 이 부대의 존재는 프랑스 농촌 지역과 도로의 상대적인 안전을 보장했지만, ''마레쇼세''는 어떠한 종류의 효과적인 경찰력도 갖추지 못했던 당시 영국에서는 외국 폭정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1789년, 프랑스 혁명 직전에 ''마레쇼세''는 여단이라고 불리는 소규모 분견대로 나뉘어 3,660명의 병력을 보유했다. 1791년 2월 16일 법에 의해 이 부대는 ''국가 헌병대''(Gendarmerie Nationale)로 개칭되었지만, 처음에는 그 구성원이 변동하지 않았다. 이후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특히 귀족 출신은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
새로운 명칭인 "헌병대"는 원래 왕실 소속의 중기병 연대 (처음에는 ''Ordonnances royales''라고 불렸다)였던 ''gens d'armes''(무장한 신사/인민)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영국의 "명예 근위대"에 해당한다.
"프랑스 원수"라는 칭호는 현대 프랑스 공화국에서 단순히 계급이 아닌 ''Dignité d'État'' ("국가 품위")이다. 이는 예외적인 업적을, 특히 전쟁이나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달성한 장군에게 수여된다.
그러나 프랑스 원수는 ''앙시앵 레짐''과 부르봉 왕정복고 시대에는 프랑스 왕실 주요 관직 중 하나였으며, 제1 프랑스 제국과 제2 프랑스 제국 시대 (이때는 "프랑스 원수"가 아닌 "제국 원수"라는 칭호가 사용되었다)에는 제국 주요 관직 중 하나였다.
프랑스 원수는 일곱 개의 별을 표시하며, 다른 국가의 군대에서 6성 장군에 해당한다. 원수는 또한 지휘봉을 받는데, 이는 별이 박힌 파란색 원통이며, 이전에는 군주정 시대에는 백합이었고, 제1 및 제2 프랑스 제국 시대에는 독수리였다. 지휘봉에는 "전쟁의 공포, 평화의 장식"을 의미하는 라틴어 문구인 ''Terror belli, decus pacis''가 새겨져 있다.
프랑스 해군(''마린 나시오날'')에서 "프랑스 원수"에 해당하는 직위는 ''아미랄 드 프랑스'' ("프랑스 제독")라고 불린다. 이 칭호는 1869년 이후 수여되지 않았다. 이론적으로, 프랑스 공군에서 이에 해당하는 칭호는 ''제네랄 드 프랑스'' ("프랑스 장군")이지만, 아직 누구에게도 수여된 적이 없다.
비롱, 레디기에르, 튀렌, 빌라르, 사크스, 그리고 술트 등 6명의 프랑스 원수에게는 훨씬 더 권위 있는 "왕의 군대와 야영지의 원수 대장" 칭호가 수여되었다. 이 계급과 칭호는 현재의 공화국 프랑스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네덜란드에서는, 왕립 헌병대(Koninklijke Marechaussee)가 1814년 10월 26일, 프랑스 헌병을 대체하기 위해 빌헬름 1세 국왕에 의해 창설된 헌병대이다. "헌병"이라는 단어가 부정적인 의미를 갖게 되자 빌헬름은 새로운 부대를 "마레세" (헌병의 또 다른 프랑스어 단어)라고 불렀다. 당시 마레세는 육군(landmacht)의 일부였다. 마레세는 육군에 대한 경찰 업무뿐만 아니라 국가 경찰(rijkspolitie)의 일원으로서 민간 경찰 업무도 수행했다. 마레세는 특히 림뷔르흐주와 노르트브라반트주와 같은 남부 지방의 벤로와 같은 많은 작은 도시에서 유일한 경찰력이었다. 1998년 현재 마레세는 네덜란드 군대의 별도 부서이며 군사 및 민간 경찰 임무를 모두 수행한다.
한자 문화권에서 '원수(元帥)'라는 단어의 어원은 《춘추좌씨전》의 희공 27년(기원전 633년) 겨울의 진나라의 극곡의 말에서 유래되었다고 여겨진다. 수나라 말기, 당나라의 시조가 되는 이연이 우원수(右元帥)와 좌원수(左元帥)를 설치했다.
영어 'Marshal'(육군 원수)의 어원은 프랑크 왕국의 지휘관의 직명, 국왕의 마굿간을 관리하는 관리, 나아가 전쟁 시 국왕의 보좌역[20]에 기인한다. 역사적으로 이 단어가 반드시 최고위 계급은 아니었는데, 예를 들어 스페인에서는 1889년까지 'mariscal de campo'(영어의 field marshal에 해당)는 육군 원수가 아닌 소장(중장과 준장 사이)에 해당하는 계급이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사단장 참조).
한자 문화권에서는 일반적으로 육해공군 장교의 계급명에 공통적인 것이 사용되며, 필요에 따라 육해공의 구분이 붙는 경우가 많으며, 원수의 경우도 마찬가지지만, 서구권에서는 육해공군마다 원수에 상당하는 계급명이 다르다. 또한, 광의의 원수는 계급으로 되어 있어도 개별적인 칭호적 색채가 강하고 특정 국가에서도 다양한 것이 많다.
과거 징병제·총력전이 당연했던 시대에는, 전시에 군대의 규모가 팽창했을 때, 증가한 대장을 통솔하는 최상위 계급으로서 원수 상당의 계급이 실무상으로도 요청되었던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각국에서도 군대의 규모 (특히 인적 규모)가 축소되었으며, 또한 대규모 전쟁도 별로 일어나지 않음에 따라, 서방 국가에서는 원수 (더 나아가 그 위의 대원수)의 실제 취임 예는 적다. 현대에는, 원수 이상의 계급을 설치하고 있거나 설치하려고 하는 국가나 지역에서도, 어디까지나 명예직에 머물고 있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한편 북한의 조선인민군에서는 대원수, 공화국 원수, 인민군 원수, 차수와 같이, 원수의 계급이 세분화되어 있다. 공화국 원수 이상은 국가의 최고 지도자인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에게만 부여되는 명예 칭호이며, 대원수 계급은 김일성의 만년과 김정일의 사후에 수여되었다.
4. 현대적 의의
과거 징병제·총력전이 당연했던 시대에는 전시에 군대 규모가 팽창했을 때, 증가한 대장을 통솔하는 최상위 계급으로서 원수 상당의 계급이 실무상으로도 요청되었던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각국에서 군대 규모(특히 인적 규모)가 축소되었고, 대규모 전쟁도 드물어짐에 따라 서방 국가에서는 원수(더 나아가 대원수)의 실제 취임 예가 적다. 현대에는 원수 이상의 계급을 설치하고 있거나 설치하려는 국가나 지역에서도 명예직에 머무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한편 북한의 조선인민군에서는 대원수, 공화국 원수, 인민군 원수, 차수와 같이 원수 계급이 세분화되어 있다. 공화국 원수 이상은 국가의 최고 지도자인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에게만 부여되는 명예 칭호이며, 대원수 계급은 김일성의 만년과 김정일의 사후에 수여되었다.
5. 대한민국
육군 해군 해병대 공군
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7. 세계 각국의 원수
일부 국가에서는 "원수"라는 용어가 더 높은 공군 계급에서 "장군" 대신 사용된다. 영국 공군의 네 최고 계급은 영국 공군 원수, 공군 대장, 공군 중장, 공군 소장이다(처음 언급된 계급은 평화 시에 중단되었지만, 원수로 간주될 수 있는 유일한 계급이다). 5성 계급인 공군 원수는 일부 영연방 및 중동 공군에서 사용된다.
프랑스 육군과 프랑스식 시스템을 모델로 한 대부분의 국가 육군에서, ''maréchal des logis''("숙영 원수")는 상사에 해당하는 기병 용어이다.
일부 역사적인 통치자들은 특정 신하들에게 보상하기 위해 특별한 "원수" 칭호를 사용했다. 엄격히 군사 계급은 아니지만, 이러한 명예 칭호는 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의 아이아쿠초의 대원수와 같이 성공적인 군사 지도자에게만 수여되었다. 가장 유명한 것은 프랑스 원수 (''Maréchaux de France'')이며, 나폴레옹 치하에서 특히 그러했다. 아돌프 히틀러가 헤르만 괴링에게 수여한 ''제국 원수''는 괴링을 위해 "발명"된 것이므로 정규 칭호는 아니었다. 영국의 제1 남작 전쟁 동안 "신과 성스러운 교회의 군대 원수"라는 칭호는 로버트 피츠월터에게 수여되었다.
소련과 러시아는 계급 체계에 육군 대장과 "원수"를 가지고 있다.
다음은 특정 국가에서 사용되는 원수 계급에 대해 논의한다.
다음 계급들은 원수와 동급으로 간주된다.
이 명칭은 군사 경찰 조직의 수장에게도 적용된다.
대부분의 군주제 국가에서는 고위 인사가 '원수'(Marshal) 또는 '궁정 원수'(Court Marshal, 군법 회의와는 관련 없음)라는 칭호를 사용한다. '궁정 원수'의 역할은 국가 전통에 따라 다르지만, 흔히 군주의 가신(궁궐 및 기타 영지)의 참모장이다. 종종 군주 주최 알현, 국빈 만찬, 회의에서 VIP 손님 도착을 알리는 의전장 역할도 한다. 이 직위는 영국 얼 마셜(Earl Marshal)이나 스코틀랜드의 얼 마리셜(Earl Marischal)과 같이 고위 귀족에게 세습되기도 한다.
미국에서 ''마샬''은 다양한 유형의 법 집행관에게 사용된다.
미국의 연방 법원 시스템은 94개 연방 사법 지구로 구성되며, 각 지구에는 법원, 미국 검사와 보좌관, 대통령이 임명한 연방 법 집행 담당 보안관이 있다. 법원은 사법부에 속하는 반면, 보안관과 미국 검사는 미국 법무부의 행정부에 속한다. 미국 보안관은 법원 보안을 감독하며, 부보안관과 특별 부보안관으로 구성된 부서를 둔다. (다른 법 집행 활동과 연방 교도소 시스템은 다른 연방 경찰 기관에서 처리한다.) 미국 보안관 서비스는 경력 법 집행 인력으로 구성된 전문 공무원 연방 경찰 부대이다. 법원 보안 및 죄수 이송, 자산 몰수, 체포 영장 집행 및 도망자 수색을 지원한다.
연방 항공 보안관은 상업용 항공기를 항공기 납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고용된 별도의 무장 연방 법 집행 기관이다. 미국 국토안보부의 교통안전청에서 근무한다.
미국 연방 대법원은 자체 미국 연방 대법원 법원 경위를 두고 있으며, 미국 연방 대법원 경찰을 통제한다. 이 경찰은 경찰 (경비) 서비스로, 대법원 자체에 책임을 진다. 연방 대법원 건물과 대법관의 개인 안전을 담당하며, 대법원이 요구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많은 미국 주에서, 마샬(원수)은 주, 지방 또는 지방 자치 수준에서 활동한다. 법원 집행관, 소환장 전달자, 선서 경찰관, 치안 판사일 수 있다. 일부 주에서는 형사 법 집행보다는 민사적 직무를 수행하기도 한다. 경찰과 마샬이 모두 있는 지역 사회에서는 마샬이 법원 관계자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마샬의 직위는 주마다 크게 다르다.
'''아메리카 서부''' (예: 1880년대 애리조나 준주, 텍사스): 마샬은 "타운 마샬" 또는 "시 마샬"로 불렸으며, 작은 지역 사회의 경찰관으로 임명되거나 선출되었다. 권한은 지역 사회 경계에서 끝났다. 연방 마샬(미국 마샬)은 더 넓은 지역에서 일했으며, 카운티 보안관의 사무소와 겹칠 수 있었다. "마샬"은 미국 남서부에서 여전히 사용된다. 타운 또는 시 마샬은 일부 지역 사회 경찰 수장 직함으로 사용된다.
'''애리조나''': 도시와 마을은 마샬을 임명하거나 선출할지, 경찰서장을 고용할지 결정한다(예: 애리조나 툼스톤). 마샬은 이사회가 선출하며, 경찰서장은 고용인이 해고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 일부 도시 카운티(예: 로스앤젤레스, 샌버나디노 카운티,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는 법원 관계자 역할을 하는 카운티 마샬 사무소를 유지했지만, 2000년 주법으로 폐지되었다. 많은 카운티 보안관 사무소에 병합되거나 인수되었다. 샤스타 카운티, 트리니티 카운티는 예외이다. 2010년 샌 베니토 카운티 마샬은 해체되어 보안관 사무소에 통합되었다. 캘리포니아 소방 마샬 및 부소방 마샬은 형법에 따라 체포 권한을 가진 치안 판사이다. 화재 및 방화 조사, 폭발물 조사, 법 집행, 화재 규정 시행을 담당한다.
'''콜로라도''': 도시, 마을은 마샬을 임명하거나 선출할지, 경찰서장을 고용할지 결정한다. 마샬은 이사회가 선출하며, 경찰서장은 고용인이 해고할 수 있다.
'''코네티컷''': 2000년 카운티 보안관 시스템을 폐지하고 주 마샬과 사법 마샬로 대체했다. 주 마샬은 주 정부에서 운영되며, 소환장 전달, 재산 압류, 퇴거, 세금 영장 집행, 체포 등 광범위한 의무를 수행한다. 사법 마샬은 사법부에서 고용하며, 법원 보안 및 피구금자 호송을 담당한다.
'''조지아''': 마샬은 민사 문제 및 주 조례에 대한 관할권을 가진 카운티 주 법원의 법 집행관이다. 애틀랜타 메트로 카운티에서 퇴거, 압류, 소환장, 민사 몰수, 판결, 압류, 유치권, 재취득, 급여 공제를 시행한다. 다른 지역에서는 보안관 사무소가 이러한 의무를 시행한다.
'''인디애나''': 타운 마샬은 ILEA 인증을 받은 타운의 최고 경찰관이다. 카운티는 보안관/부관, 도시는 경찰서/경찰관, 타운은 마샬/부관을 둔다. 타운은 의회가 관리하고, 도시는 시장이 있어 시 경찰서가 있다.[6] 마샬은 법 집행, 코드 집행, 인도적인 법 집행관 역할을 한다. 주 인증 경찰관이며, 주 전역에서 법 집행 권한을 가진다. 타운 마샬 기관은 상당히 클 수 있다. 무급 부 타운 마샬 또는 예비 경찰관을 임명할 수 있다. 시/타운 코드, 카운티 조례를 시행할 권한이 있다. 인디애나 법전은 타운 마샬을 경찰관으로 인정하여 "경찰서"로 불리기도 한다.
인디애나 법전 IC36-5-7에 따르면 마샬은 "타운의 최고 경찰관이며 법 집행관과 동일한 권한을 가진다. 소환장 전달, 체포, 평화 침해 진압, 수색 영장 및 체포 영장 집행, 범죄자 추적 및 투옥을 할 수 있다."
'''메인''': 주 마샬 서비스는 사법 시스템에 보안과 법 집행 의무를 제공하며, 주 판사를 보호한다. 부 마샬은 주 전역 권한을 가진 법 집행관이다.
'''미주리''': 주 마샬은 사법 시스템에 보안과 법 집행 의무를 제공하며, 주 판사를 보호한다. 부 마샬은 주 전역 권한을 가진 법 집행관이다. 시 마샬은 도시의 선출된 최고 법 집행관이다. 시 경계 내에서 경찰 권한을 갖는다. 훈련 양은 일반 시 경찰관보다 적다. 관할 구역은 시 경계로 제한된다. 시 마샬 직위는 드물며, 작은 시골 도시에서만 발견된다.[7][8][9]
'''네바다'''
: 시 마샬 및 부시 마샬은 시 경찰관과 동일한 권한을 갖는다. 라스베이거스와 같이 경찰력과 시 마샬 사무소를 모두 갖춘 경우, 경찰은 일반 법 집행 기관, 시 마샬은 공공 재산 보안 및 경범죄 구금 서비스를 제공한다. 경찰서가 없는 경우 카운티 보안관 사무소가 일반 법 집행 서비스를 제공한다.
:: 라스베이거스에는 두 종류의 마샬이 있다.
::: 지방 법원 마샬은 영장 및 소환장을 전달하고, 범죄로 체포하며, 법원 질서를 유지하고, 직원을 호송한다.[10]
::: 시 마샬은 시 재산에서 시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법 집행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별 작전을 수행하고, 보안 및 안전 평가를 수행한다.[11]
:: 헨더슨에도 마샬이 있다. 지방 법원 마샬은 영장을 전달하고, 범죄로 체포하며, 법원 질서를 유지하고, 직원을 호송한다.[10]
'''뉴욕''': 두 단계의 마샬이 있다.
: 시 마샬은 도시 또는 타운의 선출된 최고 법 집행관이다. 시 경계 내에서 경찰 권한을 갖는다. 훈련 양은 일반 시 경찰관보다 적다. 관할 구역은 시 경계로 제한된다. 시 마샬 직위는 드물다.
: 뉴욕 시 마샬은 뉴욕 시장에 의해 5년 임기로 임명되며, 시로부터 급여를 받지 않는다. 83명 이하를 임명해야 한다. 주로 민사 소송 명령을 집행한다. 연간 약 25,000건의 퇴거를 집행한다. 뉴욕 시 조사부의 규제를 받지만, 시 보안관과 달리 시 직원이 아니다. 법으로 정해진 수수료를 징수하며, 징수하는 돈의 5%를 유지한다. 법원 명령에 따라 돈, 동산, 차량을 압류하고, 임대 구내를 반환할 수 있다. 연간 시에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
'''오하이오''': "마을 마샬"은 시장 지휘를 받는 기능을 위해 사용되었다.
'''텍사스''': 시 마샬 및 부시 마샬은 시 경찰관과 동일한 권한을 갖는다. 포트 워스와 같이 경찰력과 시 마샬 사무소를 모두 갖춘 경우, 경찰은 일반 법 집행 기관, 시 마샬은 법원 보안 및 소환장 전달을 제공한다. 경찰서가 없는 경우 시 마샬 사무소가 일반 법 집행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12]
'''워싱턴 주''': 시애틀시는 시 마샬을 지방 법원에 고용하며, 최고 경찰관은 수석 마샬, 부하 경찰관은 부 마샬이다. 법원 보안 및 법 집행 서비스를 제공한다. 법원 내 피고인 체포 및 호송을 담당한다.[13] 킹 카운티 보안관 사무소(시애틀 소재)도 법원 마샬을 고용한다. 워싱턴 윈throp의 마을 마샬은 시 경찰력을 이끈다.[14]
'''위스콘신''': 마을 마샬은 치안 판사 권한을 소유하고, 마을 이사회 명령에 복종해야 한다. 보안관과 동일한 수수료를 받거나 이사회가 정하는 보상을 받는다. 법 집행 의무를 부여받고 법 집행관 정의를 충족하는 경우, 최소 고용 표준을 준수하고 훈련을 완료해야 한다.
"마셜"이라는 세습 칭호는 잉글랜드 국왕의 가구 안전 책임자를 지정했다. 윌리엄 마셜 제1대 펨브로크 백작은 이 직책에서 네 명의 국왕을 섬겼다. 세습 마셜(얼 마셜) 직책은 국가 주요 관직으로 발전했다.
왕실 법과 질서 유지는 기사 마셜(1236년 설립)로 이관되었다. 기사 마셜은 1846년 폐지될 때까지 국왕 궁궐 반경 약 19.31km 내에서 제한적인 체포 권한을 행사했다.
1595년, 엘리자베스 1세는 마셜에게 런던 시 내 질서 유지 권한을 부여했다. 부마셜 1명과 시 마셜맨 6명이 임명되었다. 1829년과 1839년 경찰법으로 역할이 변화했다. 현재 빌리 킹-하만 대령(CBE)인 시 마셜은 런던 시장의 평화 유지자로 활동하며, 행진을 이끌고, 군대 입장에서 런던 시장을 대표한다.
"스코틀랜드 마리샬" 직위는 키스 가문이 허비 드 키스 이후 세습했다.[15] 허비 드 키스는 말콤 4세와 윌리엄 1세 치하에서 마리샬 직을 맡았다. 로버트 드 키스 경(1332년 사망)은 1324년경 로버트 1세에 의해 "스코틀랜드 대 마리샬"로 확인되었다.
로버트 드 키스의 증손자 윌리엄은 1458년경 제임스 2세에 의해 얼 마리샬 작위를 받았다. 조지 키스(10대 얼)가 1715년 자코바이트 봉기에 가담하여 몰수되면서 소멸되었다.
마리샬은 스코틀랜드 왕실 스코틀랜드 왕관 보물 관리인, 국왕의 스코틀랜드 의회 참석 시 국왕 보호 역할을 했다. 세 왕국 전쟁 동안 7대 얼이 왕실 왕관 보물을 던노터 성에 숨겼다. 잉글랜드 얼 마셜의 문장 규제 역할은 스코틀랜드에서 리옹 문장관이 수행한다.
기사 마리샬은 1633년 찰스 1세의 스코틀랜드 대관식에서 처음 만들어졌다. 세습되지 않지만, 키스 가문 구성원들이 역임했다.
프랑스에서, ''마레쇼세''(Maréchaussée, "원수단")는 프랑스 ''헌병대''의 전신이다. 1337년 창설, 프랑스 대원수 지휘, ''콩네타블리''(Connétablie)로 불렸다. 1627년 '콩네타블' 칭호 폐지 후, "프랑스 원수" 지휘, ''마레쇼세''로 개칭되었다. 주요 임무는 강도로부터 도로를 보호하는 것이었다.
''마레쇼세''는 군사적 군사 경찰 부대였다. 용기병과 유사한 제복, 머스킷총, 사브르를 휴대했다. 프랑스 농촌과 도로 안전을 보장했지만, 영국에서는 외국 폭정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1789년, 프랑스 혁명 직전 ''마레쇼세''는 여단으로 나뉘어 3,660명이었다. 1791년 ''국가 헌병대''(Gendarmerie Nationale)로 개칭되었지만, 구성원은 변동하지 않았다. 이후 귀족 출신은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
"헌병대"는 왕실 중기병 연대 ''gens d'armes''(무장한 신사/인민)에서 유래, 영국의 "명예 근위대"에 해당한다.
"프랑스 원수"는 현대 프랑스 공화국에서 계급이 아닌 ''Dignité d'État'' ("국가 품위")이다. 예외적 업적, 특히 전쟁이나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장군에게 수여된다.
프랑스 원수는 ''앙시앵 레짐'', 부르봉 왕정복고 시대 프랑스 왕실 주요 관직, 제1 프랑스 제국, 제2 프랑스 제국 시대(제국 원수 칭호 사용) 제국 주요 관직 중 하나였다.
프랑스 원수는 일곱 개의 별을 표시하며, 6성 장군에 해당한다. 지휘봉을 받는데, 별이 박힌 파란색 원통이며, 군주정 시대에는 백합, 제1 및 제2 프랑스 제국 시대에는 독수리가 있었다. 지휘봉에는 "전쟁의 공포, 평화의 장식"을 의미하는 라틴어 문구 ''Terror belli, decus pacis''가 새겨져 있다.
7. 1. 개요
한자 문화권에서는 일반적으로 육해공군 장교의 계급명에 공통적인 것이 사용되며, 필요에 따라 육해공의 구분이 붙는 경우가 많으며, 원수의 경우도 마찬가지지만, 서구권에서는 육해공군마다 원수에 상당하는 계급명이 다르다. 또한, 광의의 원수는 계급으로 되어 있어도 개별적인 칭호적 색채가 강하고 특정 국가에서도 다양한 것이 많다.
과거 징병제·총력전이 당연했던 시대에는, 전시에 군대의 규모가 팽창했을 때, 증가한 대장을 통솔하는 최상위 계급으로서 원수 상당의 계급이 실무상으로도 요청되었던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각국에서도 군대의 규모 (특히 인적 규모)가 축소되었으며, 또한 대규모 전쟁도 별로 일어나지 않음에 따라, 서방 국가에서는 원수 (더 나아가 그 위의 대원수)의 실제 취임 예는 적다. 현대에는 원수 이상의 계급을 설치하고 있거나 설치하려고 하는 국가나 지역에서도, 어디까지나 명예직에 머물고 있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한편 북한의 조선인민군에서는 대원수, 공화국 원수, 인민군 원수, 차수와 같이, 원수의 계급이 세분화되어 있다. 공화국 원수 이상은 국가의 최고 지도자인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에게만 부여되는 명예 칭호이며, 대원수 계급은 김일성의 만년과 김정일의 사후에 수여되었다.[1]
7. 2. 주요 국가
: 원수 계급은 존재하지만, 임관된 사례는 없다.[21]
: 원수는 대원수, 공화국 원수, 인민군 원수, 차수로 세분화되어 있다. 대원수와 공화국 원수는 최고 지도자인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에게만 부여되는 명예 칭호이다. 대원수 계급은 김일성의 만년과 김정일의 사후에 수여되었다.
: 원수는 계급이 아닌 명예 관직 및 칭호이다. 일본 군대 역사상 '육군 원수'는 사이고 다카모리 단 한 명뿐이며, '대원수'나 '해군 원수'[21] 임관 사례는 없다.[22]
: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 러시아 연방 원수
:: 소련 시절에는 소련 원수(육군), 소련 해군 원수(해군), 해군 원수(1945-55) 계급이 있었다. 이 외에 각종 병과 원수, 병과 총원수 및 해군 원수 (1940-55・1962-1991)가 있었지만, 이들은 상급 대장에 해당한다.
: 프랑스 원수는 계급이 아닌 명예 칭호이다.
: 영국 원수
: 미국 원수
: 이탈리아 원수
: 독일 원수
: 폴란드 원수
: 유고슬라비아 원수
8. 기타 용례
대부분의 군주제 국가에서 '원수'(Marshal)는 고위 인사나 '궁정 원수'(Court Marshal), '대원수'(Grand Marshal) 등의 복합 칭호로 사용된다. '궁정 원수'는 군주의 가신 참모장 역할을 하며, 알현, 국빈 만찬, 회의 등에서 VIP 손님을 알리는 의전을 담당하기도 한다. 이 직위는 얼 마셜이나 얼 마리셜처럼 고위 귀족에게 세습되기도 했다.
모터스포츠에서는 트랙 마셜이 레이싱 플래그를 흔들고 사고 차량 및 운전자를 돕는다. 피트 마셜은 피트 절차를 감독하고, 소방 마셜은 화재 발생 시 지원한다. 국제 자동차 연맹(FIA)은 마셜링에 대한 규칙과 권고사항을 제공한다.[5] 1977년 남아프리카 그랑프리, 1977년 일본 그랑프리, 2000년 이탈리아 그랑프리, 2001년 호주 그랑프리, 2013년 캐나다 그랑프리에서 트랙 마셜이 사고로 사망하기도 했다.
'터프 가이' 같은 대회에서는 규칙 준수를 감독하는 관계자를 마셜이라고 부른다. 도로 달리기 경주에서 '코스 마셜'은 규칙을 시행하고 주자를 돕는다.
미국에서 '마셜'은 다양한 법 집행관에게 사용된다. 주, 지방 자치 단체에서 활동하며 법원 집행관, 소환장 전달자, 치안 판사 등 다양한 역할을 한다.
- '''아메리카 서부''': 1880년대 애리조나 준주 및 텍사스 등에서 마샬은 "타운 마샬" 또는 "시 마샬"로 불렸으며, 경찰서장과 유사한 권한을 가졌다. 연방 마샬(미국 마샬)은 더 넓은 지역에서 활동했다.
- '''애리조나''': 도시와 마을은 마샬을 임명하거나 선출하거나, 경찰서장을 고용한다.
- '''캘리포니아''': 일부 카운티는 별도의 카운티 마샬 사무소를 유지했으나, 2000년 주법에 의해 폐지되어 보안관 부서에 흡수되었다. 샤스타 카운티, 트리니티 카운티는 예외이다. 캘리포니아 소방 마샬은 화재 및 방화 조사, 법 집행, 화재 규정 시행 등을 담당한다.
- '''콜로라도''': 도시, 마을 등은 마샬을 임명하거나 선출하거나, 경찰서장을 고용한다.
- '''코네티컷''': 2000년 카운티 보안관 시스템이 폐지되고 주 마샬과 사법 마샬로 대체되었다. 주 마샬은 소환장 전달, 재산 압류, 영장 집행 등을 담당하고, 사법 마샬은 법원 보안 및 피구금자 호송을 담당한다.
- '''조지아''': 마샬은 카운티 주 법원의 법 집행관으로 민사 문제 및 주 조례를 담당한다.
- '''인디애나''': 타운 마샬은 ILEA 인증을 받은 경찰관으로, 타운의 최고 경찰관 역할을 한다. 주 전역에서 법 집행 권한을 가지며, 부 타운 마샬을 임명할 수 있다.
- '''메인''': 주 마샬 서비스는 사법 시스템에 보안 및 법 집행 의무를 제공하며, 부 마샬은 주 전역 권한을 가진 법 집행관이다.
- '''미주리''': 주 마샬은 사법 시스템 보안 및 법 집행을 담당하고, 시 마샬은 도시의 선출된 최고 법 집행관이다.
- '''네바다''':
시 마샬 및 부시 마샬은 경찰관과 동일한 권한을 갖는다. 라스베이거스와 같이 경찰과 시 마샬 사무소가 모두 있는 경우, 경찰은 일반 법 집행을, 시 마샬은 공공 재산 보안 등을 담당한다.
- 라스베이거스 지방 법원 마샬은 영장 전달, 체포, 법정 질서 유지 등을 담당한다.[10]
- 라스베이거스 시 마샬은 시 재산에서 법 집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특정 범죄 활동 감소를 위한 작전을 수행한다.[11]
- 헨더슨 지방 법원 마샬은 영장 전달, 체포, 법정 질서 유지 등을 담당한다.[10]
- '''뉴욕''': 시 마샬은 도시 또는 타운의 선출된 최고 법 집행관이고, 뉴욕 시 마샬은 뉴욕 시장이 임명하며 민사 소송 명령을 집행한다.
- '''오하이오''': "마을 마샬"은 시장 지휘 하에 같은 기능을 수행했다.
- '''텍사스''': 시 마샬 및 부시 마샬은 경찰관과 동일한 권한을 갖는다. 포트 워스와 같이 경찰과 시 마샬 사무소가 모두 있는 경우, 경찰은 일반 법 집행을, 시 마샬은 법원 보안 등을 담당한다.
- '''워싱턴 주''': 시애틀시는 시 마샬을 지방 법원에 고용하며, 법원 보안 및 법 집행 서비스를 제공한다.[13] 킹 카운티 보안관 사무소도 법원 마샬을 고용한다. 워싱턴 윈throp의 마을 마샬은 시 경찰력을 이끈다.[14]
- '''위스콘신''': 마을 마샬은 치안 판사와 유사한 권한, 책임을 가지며, 마을 이사회의 명령에 복종해야 한다.
참조
[1]
서적
Kluge, Etymologisches Wörterbuch der deutschen Sprache
Walter de Gruyter
[2]
기타
Deutsches Wörterbuch
http://germazope.uni[...]
Leipzig
1854-1960
[3]
간행물
Guidelines on Freedom of Peaceful Assembly
http://www.osce.org/[...]
Office for Democratic Institutions and Human Rights, OSCE
2007
[4]
뉴스
The Anthropology of Ritual: Monitoring and Stewarding Demonstrations in Northern Ireland
http://www.ingentaco[...]
Anthropology in Action
2006-01
[5]
웹사이트
Appendix H To the International Sporting Code
http://www.fia.com/r[...]
2024-05-17
[6]
웹사이트
Town vs. City – The Town of Clarksville, Indiana
http://townofclarksv[...]
2016-04-02
[7]
웹사이트
Missouri Revisor of Statutes - Revised Statutes of Missouri, RSMo, Missouri Law, MO Law
http://www.moga.mo.g[...]
2008-03-02
[8]
웹사이트
Missouri Revisor of Statutes - Revised Statutes of Missouri, RSMo, Missouri Law, MO Law
http://www.moga.mo.g[...]
2008-03-02
[9]
웹사이트
Missouri Revisor of Statutes - Revised Statutes of Missouri, RSMo, Missouri Law, MO Law
http://www.moga.mo.g[...]
2008-03-02
[1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lasvegasn[...]
2013-07-20
[11]
웹사이트
Deputy City Marshals (Official City of Las Vegas Web Site)
http://www.lasvegasn[...]
2016-04-02
[12]
웹사이트
Texas Local Government Code - Sec. 341.021. MARSHAL OF TYPE A GENERAL-LAW MUNICIPALITY
https://statutes.cap[...]
[13]
웹사이트
Seattle Municipal Court Marshals & Security - Courts
http://www.seattle.g[...]
seattle.gov
2022-08-21
[14]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winthropm[...]
2016-04-02
[15]
EB1911
Marshal
[16]
웹사이트
Ceremonial
https://www.cityoflo[...]
[17]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2024-11-17
[18]
기타
海軍武官彼我ノ称呼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9]
기타
海軍官名諸艦船トモ英国海軍官名録ノ通リ唱ヘシム
国立公文書館
[20]
문서
阪口 左読みのP47
[21]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22]
기타
職員録・明治六年一月・袖珍官員録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国立公文書館
[23]
서적
Webster's Encyclopedic Unabridged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Gramercy Books
[24]
기타
According to Merriam Webster's, ''marshall'' is "considered a spelling error by several commentators" and "In American English, especially, ''marshal'' is the better choice."
https://books.google[...]
[25]
문서
원수는 국가에 대한 공적이 현저한 대장 중에서 임명하며, 국방부장관의 추천에 의하여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행한다. (군인사법 제 17조의2), 현재까지 대한민국 국군에는 [[원수]]로 임명된 [[군인]]은 없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